자동차보험 할증이란 자동차 보험 가입자가 사고를 내거나 보험금을 청구했을 때, 다음 해 보험료가 인상되는 제도입니다. 사고의 횟수, 과실 비율, 보상 금액, 사고 유형에 따라 할증률이 달라집니다. 보험사는 이를 바탕으로 개인의 위험도를 평가해 보험료에 반영합니다. 사고 위험이 높다고 판단되면 더 많은 보험료를 내게 됩니다.

돈되는 자동차 정보

운전자보험 꼭 들어야할까?

자동차보험 싸게 가입 방법 후기

중고차 잘사는법 7가지

 

자동차사고 시 할증 기준은?

자동차사고 시 보험료 할증 기준은 사고의 가해 여부, 과실 비율, 사고 횟수, 보상 금액, 중과실 여부에 따라 결정됩니다.

가해자일 경우 할증 대상이 되며, 피해자이거나 50% 미만 과실인 경우는 할증되지 않거나 적게 반영됩니다. 특히 10대 중과실 사고, 음주·무면허 운전, 사망 사고 등은 대폭 할증됩니다.

또한 1년에 사고 2회 이상이거나 보험금 청구액이 클수록 다음 해 보험료 인상폭이 커집니다.

몇 번 사고 나면 보험료가 오를까?

자동차보험은 사고 1회만 나도 보험료가 오를 수 있습니다. 1년 내 2회 이상 사고를 내면 할증 폭이 크게 증가합니다.

보험사마다 기준은 다르지만, 경미한 경우 할증이 적거나 없을 수도 있고, 두 번째 사고부터는 사고 유형과 금액에 따라 보험료가 수십 퍼센트 이상 인상되기도 합니다. 반복적인 사고는 운전자의 위험도를 높게 평가하게 됩니다.

할증되는 사고 vs 할증되지 않는 사고

자동차사고 중에서도 할증되는 사고는 가해 사고, 10대 중과실 사고, 자차 처리 사고, 음주·무면허 운전, 사망·중상해 사고 등이 있으며, 이 경우 보험료가 크게 인상됩니다.

할증되지 않는 사고는 100% 피해사고, 자기부담금 이하 소액 사고 미청구, 도난·화재·태풍 등의 천재지변 등이 있습니다. 사고의 책임과 보험금 지급 여부에 따라 할증 여부가 결정되므로, 사고 후 처리 방식이 중요합니다.

자기차량손해(자차) 사고도 할증될까?

자기차량손해(자차)로 처리한 사고도 대부분 보험료가 할증됩니다.

단독 사고든 상대 있는 사고든 보험금을 청구하면 ‘1건의 사고’로 간주됩니다. 특히 자차 수리비가 클수록 할증 폭도 커지며, 소액이라면 자비로 처리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단, 천재지변이나 도난 등 일부 예외적인 자차 사고는 할증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사고 유형과 처리 방식에 따라 신중히 판단해야 합니다.

보험료 할증 얼마나 오르나?

자동차보험 할증은 사고 1건만으로도 보험료가 수십만 원 이상 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무사고였던 A씨의 보험료가 연 60만 원이었다면, 경미한 자차 사고 1건 처리 후 다음 해 보험료는 약 70만 원 내외로 상승할 수 있습니다.

반면, 과실 큰 가해 사고로 상대방 수리비와 병원비까지 지급된 경우, 다음 해 보험료는 90만 원 이상까지 오르며, 2건 이상 사고 시 100만 원 이상으로도 급등할 수 있습니다.

즉, 사고 1~2건으로 보험료가 최대 2배까지 인상될 수 있어 사고 처리 방식에 따라 장기적인 비용 차이가 큽니다.

3년간 무사고면 할증 초기화?

자동차보험은 3년간 무사고를 유지하면 이전 사고로 인한 할증이 서서히 사라지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사고 이력은 3년간 보험등급 산정에 반영되며, 이 기간 동안 추가 사고 없이 유지하면 할증이 점차 줄어들고 등급이 복구됩니다.

사고로 보험료가 100만 원까지 올랐다면, 3년 무사고 후 다시 60만 원 수준으로 회복될 수 있습니다. 단, 중대사고나 음주운전 등은 더 오랜 기간 영향이 남기도 하므로 사고 종류에 따라 회복 속도는 다릅니다.

여기까지 자동차보험료 할증에 대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