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보험 대물 배상이란, 운전 중 사고로 인해 다른 사람의 차량이나 재물에 손해를 입혔을 때 그 수리비나 배상금을 지급해주는 보장입니다. 예를 들어 상대방 차량, 가로등, 상가 유리창, 전봇대 등 피해가 발생했을 경우 해당 비용을 보험사에서 지급합니다. 설정한 한도 내에서만 보장되기 때문에 한도가 낮으면 큰 사고 시 본인이 부족분을 부담해야 합니다.

돈되는 자동차 정보

운전자보험 꼭 들어야할까?

자동차보험 싸게 가입 방법 후기

중고차 잘사는법 7가지

 

대물 배상 한도는 얼마까지 설정할 수 있나요?

자동차보험의 대물 배상 한도는 최소 2천만 원부터 시작해 5천만 원, 1억, 2억, 5억, 최대 10억 원까지 설정할 수 있으며, 보험사에 따라 무제한 보장 특약을 선택할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보장 한도가 높을수록 보험료는 소폭 상승하지만, 최근 고가 수입차나 전기차 사고 시 수리비가 수억 원에 달하는 사례가 많아 5억 원 이상 또는 10억 원 설정이 권장되는 추세입니다.

대물 한도는 얼마로 설정하는 게 적절할까요?

대물 배상 한도는 최소 2천만 원부터 최대 10억 원까지(최근에는 20억까지 가능)선택할 수 있으며, 최근 수입차 및 고급 차량 수리비가 수천만 원을 넘는 사례가 많아짐에 따라 10억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험료 차이는 크지 않지만 사고 시 본인 부담금 위험은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대물 배상 한도가 낮으면 사고 시 어떤 문제가 생기나요?

대물 배상 한도가 낮을때 고가 차량이나 고가의 시설물과 사고 발생 시 수리비가 한도를 초과해 본인이 초과 금액을 직접 부담해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대물 한도가 1억 원인데 상대 차량 수리비가 1억 5천만 원이 나오면, 초과된 5천만 원은 운전자가 부담해야 합니다.

대물배상 무제한도 있나요?

자동차보험 대물배상 무제한 보장은 없습니다. 대인배상은 무제한 설정이 가능하지만, 대물은 사고 발생 시 손해 금액이 비교적 명확하고 한도 초과 시 책임 범위가 크기 때문에 한도는 대부분 10억 원으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실제 대물 한도 초과해서 문제된 사례가 있나요?

한 사례로는 외제차와 크게 충돌하여 수리비가 3억 원에 달했지만, 대물 보험 한도가 1억 원에 불과해 나머지 2억 원을 본인이 부담해야 했습니다. 이로 인해 법적 분쟁이 발생했고, 결국 급여 압류 등의 조치를 당했습니다.

또 다른 사례로, 벤츠 전기차 화재로 인해 지하주차장에 있던 수백 대의 차량이 피해를 입었고, 가해 차량의 대물 한도가 5억 원이었으나 피해액이 이를 초과해 차주가 추가 부담을 져야 했습니다.

여기까지 자동차보험 대물 보장 특약에 대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